아직 뇌과학을 제대로 연구하고 있지는 않지만, 뇌과학 연구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덕분에 '뇌'기능에 대한 이야기가 들리면 나도 모르게 집중하게 된다. 무신론적인 관점에서 뇌과학을 논하는 사람의 이야기는 언론을 통해서 많이 들리지만, 이 주제를 성경적 관점에서 본 이야기는 아직 들어 보지 못했던 터라, 꽤 흥미를 가지고 읽기 시작한 책이다. 하지만, 아쉽게도 이 책의 내용은 '뇌과학'과는 좀 거리가 먼 책이다. 뇌과학의 양념을 뿌린 기독교 세계관 서적이라고 정의하는 편이 좋을 듯 하다. 그리고 양념이 좀 과해서 비전공자들이 읽기에 오히려 더 부담스럽게 만든 부분이 적잖다.
이 책에서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은 "하나님은 사랑이시다" 라는 주제이다. 우리가 그 사랑의 하나님을 믿을 때에 우리의 마음이 회복되며, 잘못된 하나님관 (벌주고 무섭기만 한 하나님)을 가질 때 우리의 마음에도 병이 든다는 것이다. 이 책 전반에서 저자는 이것을 다양한 상담사례들을 통해 증거하고 있는데, 비록 기대했던 내용은 아니었지만, 어쨌든 꽤 재미있었다.
이 책을 통해,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(심지어 미국에서!) 잘못된 하나님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. 죄책감 그 자체는 (죄가 잘못된 것임을 깨닫게 하기 때문에) 좋은 것이지만 , 은혜의 복음으로 연결되지 않는 죄책감은 마음을 상하게 할 뿐이다. 청소년부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올바른 하나님관을 가르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다.
한편,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하나님관 역시 한쪽으로 많이 치우쳐 있다는 생각을 (책을 읽는 내내) 지울 수가 없었다. 하나님은 사랑 그 자체라는 것은 명확하지만, 그 '사랑' 이라는 것을 인간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려다 보니, 저자는 '공의의 하나님', '심판하시는 하나님'이라는 개념을 비성경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. (저자는 '사랑의 매' 라는 개념만을 성경적인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.)
이 책은 '벌주시는 하나님'의 세계관에 같혀 있는 사람들에게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. 그 하나님이 사실은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는 가이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. 하지만, 동시에 이 책은 '하나님관'에 대한 균형이 무너져 있는 (적어도 내 생각에는 그렇다) 책이어서, 이 책은 반드시 다른 관점을 가진 책들과 함께 비판적으로 읽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.
![]() |
|
'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간의 일생- 이재철, 홍성사 (0) | 2012.03.23 |
---|---|
선교현장 이야기-레나 테일러, IVP (0) | 2012.03.23 |
리턴 투 코리아- 플로렌스 머레이, 대한 기독교서회 (0) | 2012.03.23 |
예수와 함께한 저녁식사- 데이비드 그레고리, 김영사 (0) | 2012.03.23 |
선교관련 책들 (0) | 2012.02.06 |